望南家吟[망남가음] 李奎報[이규보]
남쪽 집을 바라보며 읊다.
南家富東家貧[남가부동가빈] : 남쪽 집은 부자요 동쪽 집은 가난한데
南家歌舞東家哭[남가가무동가곡] : 남쪽 집은 춤과 노래 동쪽 집에선 곡하네.
歌舞何最樂[가무하최락] : 노래와 춤이 어찌 가장 큰 즐거움일까
賓客盈堂酒萬斛[빈객만당주만곡] : 귀한 손님 집에 가득하고 술도 만 섬이라네.
哭聲何最悲[곡성하최비] : 슬퍼하는 소리 어찌 가장 마음 아플까
寒廚七日無煙綠[한주칠일무연록] : 가난한 부엌에는 칠 일을 검은 연기도 없구나.
東家之子望南家[동가지자망남가] : 동쪽 집의 자식들 남쪽 집을 바라보니
大嚼一聲如裂竹[대작일성여렬죽] : 뽐내며 씹는 한 소리 대나무 찢는것 같구나.
君不見[군불견] : 그대 보지를 못했는가 ?
石將軍日擁紅粧醉金谷[석장군일옹홍장취금곡] : 석장군이 날마다 화장한 미인을 끼고 금곡에서 취했지만
不若首山餓夫淸名千古獨[불약수산아부청명천고독] : 수양산 아부의 청명한 이름 천고에 빛남만 같지 못한 것을
石將軍[석장군] : 晉[진] 나라 갑부 石崇[석숭]. 世說新語[세설신어] 汰侈[태치]에 이르길
"석숭은 金谷園[금곡원]에서 기생들이 손님에게 술을 취하도록 권하지 않으면
기생을 죽이기까지 했다."하였다.
紅粧[홍장] : 미인의 화장, 붉게하는 화장.
餓夫[아부] : 周[주] 나라 武王[무왕]이 紂[주]를 치는 것에 반대하여
首陽山[수양산]에 숨어서 충신의 절개를 지키면서 고사리로 연명하다가
굶어 죽었다는 伯夷[백이]와 叔齊[숙제].
東國李相國全集卷第一[동국이상국전집제1권]古律詩[고율시]
李奎報[이규보, 1168-1241] : 자는 春卿[춘경], 호는 白雲居士[백운거사]
만년에는 시, 거문고, 술을 좋아해 三酷好先生[삼혹호선생]이라고 불림.
'李奎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次韻梁校勘寒食日邀飮[차운양교감한식일요음] (1) | 2025.04.27 |
---|---|
梅花[매화] (0) | 2025.04.24 |
詠桐[영동] (0) | 2025.04.11 |
寓古[우고] 三首-3 (0) | 2025.04.08 |
寓古[우고] 三首-2 (0) | 2025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