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시 가을

甁菊[병국]

돌지둥[宋錫周] 2024. 8. 20. 05:49

甁菊[병국]    林億齡[임억령]

항아리의 국화.

 

常恨東籬英[상한동리영] : 항상 동쪽 울타리 꽃부리 원통하여

重陽口尙噤[중양구상금] : 중양절에는 오히려 입을 다물었네.

十月夜雨鳴[시월야우명] : 열번째 달 소리 내어 비 오는 밤에

以繁霜凜[가이번상름] : 무성한 서리 더하여도 늠름하였네.

朝來開戶看[조래개호간] : 아침이 돌아와 문을 열고 바라보니

粲粲如濯錦[찬찬여탁금] : 선명하고 청초해 씻은 비단 같았네.

敎兒揷膽甁[교아삽담병] : 아이를 시켜 항아리를 씻어 꽂고서

置之於燕寢[치지어연침] : 한가한 전각에 기대 그대로 두었네.

遙觀非不好[요관비불호] : 멀리 보니 좋아하지 않음 아니지만

不如對之審[불여대지번] : 마주보며 살피는 것만 같지 못하네.

此本隱君子[차본은군자] : 이는 본래 숨어 사는 군자이기에

山野遒天稟[산야주천품] : 산과 들에 타고난 기품 아름답네.

自從陶令採[자종도령채] : 스스로 나가 도연명은 채취했고

後世爭題品[후세쟁제품] : 뒤의 세상에서 가치를 다투었지.

深思踰垣走[심사유원주] : 깊은 생각에 담장을 달려 넘으니

只恐爲已甚[지공위이심] : 다만 너무 심하게 위할까 두렵네.

沈菹與釀酒[침저여양주] : 김치를 담고 더불어 술을 빚고

而又實之枕[이우실지침] : 너와 다시 참으로 누워보리라.

遂令草野資[수령초야질] : 마침내 초야의 자질로 하여금

生桃李蔭[나생도리음] : 복숭아 오얏 그늘에 줄지어 자라네.

嗟我異於是[차아이어시] : 나는 이 기이한 것을 탄식하며

從此茅齋飮[종차모재음] : 이로부터 띠풀 집에서 마시리라.

一杯對老樹[일배대로수] : 한 잔으로 늙은 나무 마주하니

滿身和氣滲[만신화기삼] : 몸에 가득 온화한 기색 스미네.

柴門雖大開[시문수대개] : 사립문 아무리 크게 열어둬도

俗客焉得闖[소개언득틈] : 풍치 없는 이 어찌 엿보아 알까.

醉來詠陶詩[취래영도시] : 취하여 도연명의 시 노래하니

前山白鶴吟[전산백학음] : 앞의 산에 흰 학도 노래하네.

 

燕寢[연침] : 임금이 평상시에 한가롭게 거처하는 전각.

隱君子[은군자] : 재능은 있으나 세상의 명예와 부를 욕심내지 않고

   세상을 피하여 숨어사는 사람.

天稟[천품] : 타고난 기품.

陶令[도령] : 晉[진] 나라 陶淵明[도연명].

   그가 彭澤令[팽택령]을 지냈기 때문에 그리 부름.

題品[제품] : 사물의 가치나 우열을 문예적 표현으로 평하는 일.

草野[초야] : 풀이 난 들, 궁벽한 시골.

 

石川先生詩集卷之一[석천선생집1권] / 五言長篇[오언장편]

林億齡[임억령,1496-1568] : 자는 大樹[대수],

   호는 林石川[임석천]. 병조참지, 담양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.

 

'한시 가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秋懷寄人[추회기인]  (5) 2024.09.01
山民[산민]  (2) 2024.08.29
秋村雜題[추촌잡제]  (0) 2024.08.18
月夜出城[월야출성]  (0) 2024.07.30
秋日[추일]  (0) 2024.07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