송시열

次退憂所用李同甫韻[차퇴우소용이동보운]2-1

돌지둥[宋錫周] 2024. 10. 27. 21:45

次退憂所用李同甫韻[차퇴우소용이동보운] 2-1

宋時烈[송시열]

퇴우가 이동보의 운을 쓴 것을 차하다.

 

晦父平生守一丘[회보평생수일구] : 회보(주자)가 한 평생 한 언덕을 지키며
自期知罪是春秋[자기지죄시춘추] : 스스로 알아 죄줌은 이 춘추라 기약했지.
雙行義利譏同甫[쌍행의리기동보] : 의리와 사익을 함께 행한 동보를 비웃고
兩可賢邪歎應求[양가현사환응구] : 현과 사 둘 다 옳다는 응구에게 탄식했지
憂子所憂寧有極[우자소우녕유극] : 그대 근심 걱정하니 어찌 끝이 있겠으며
樂吾之樂却無愁[낙오지락각무수] : 나의 즐거움 즐기나니 도리어 근심 없네.

至今白鹿祠前水[지금백록사전수] : 오늘에 이르기까지 백록동 사당 앞 물은
來自源頭汩㶁流[내자원두율획류] : 발원지에서 나와 맑게 콸콸콸 흐르누나

朱先生次范伯崇韻曰[주선생차범백숭왈]平生罪我只春秋[평생죄아지춘추]

주 선생이 범백숭의 시에 차운하기를

"평생 나를 죄 줄 것은 단지 '춘추' 일 것이네."라고 하였다.

 

退憂[퇴우] : 金壽興[김수홍, 1626-1690], 자는 起之[기지], 호는 退憂堂[퇴우당]

   金壽恒[김수항]의 형. 1680년(숙종6) 庚申大黜陟[경신대출척]으로

   서인이 집권한 뒤에 영의정에 올랐으나 1689년 己巳換局[기사환국]으로

   남인이 다시 집권하자 長鬐[장기]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배소에서 죽었다.

同甫[동보] : 李喜朝[이희조,1655-1724]의 자, 호는 芝村[지촌], 송시열의 문인.

    대사헌,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.

晦父[회보] : 晦庵[회암], 朱熹[주희]. 주자학을 집대성함.

知罪春秋[지죄춘추] : 맹자 滕文公下[등문공하]에서 孔子[공자]가 말하기를

   "나를 알아주는 것도 오직 《춘추》를 통해서이고

   나를 죄주는 것도 오직 《춘추》를 통해서일 것이다."라고 하였다.

   朱熹[주희]도 시에서 "평생 나를 죄줄 것은 단지 《춘추》일 것이네."라고

   말한 적이 있는데, 이는 주희가 많은 책을 지어

   후세에 남긴 것을 두고 이렇게 말한 것으로 보인다.

   晦庵集 卷5[회암집 5권] 次韻別范伯崇二首[차운별범백숭2수]

同甫[동보] : 남송 때의 학자 陳亮[진량]의 자.

   그는 理學[이학]의 공리공담을 반대하고

   事功[사공]과 실질적 효용을 중시하였는데,

   이에 대해 주희는 비판하기를

   "이것은 원칙 없이 王道[왕도]와 覇術[패술]을 함께 쓰고

   의리와 私利[사리]를 함께 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."

   라고 하였다. 晦庵集 卷36[회암집 36권] 與陳同甫[여진동보].

應求[응구] : 남송 孝宗[효종] 때의 재상 陳俊卿[진준경,1113-1186]의 자.

賢邪[현사] : 현인과 악인, ' 賢[현]과 邪[사] 둘 다 괜찮다’는 말에 대한

   분명한 전거는 찾지 못하였으나 진준경이 승상이 되고 난 뒤에

   "현자를 등용하고 간사한 자를 물러나게 하는 과거의 승상 역할은

   현 시국이 절박하므로 반드시 그렇게 할 수는 없다."라고 말한 것에 대해

   주희가 정도를 지켜 줄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낸 적이 있는데,

   이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.

   晦庵集 卷24[회암집 24권] 賀陳丞相書[하진승상서].

白鹿[백록] : 白鹿洞[백록동], 廬山[여산]의 五老峯[오로봉] 아래에 있다.

   당나라 李潑[이발]에 의해 세워졌으며 송 나라 때 朱熹[주희]가

   南康軍[남강군]의 守[수]가 되어 직접 학규를 만들어 강학하였다.

 

宋子大全卷四[송자대전4권] 詩[시] 言律詩[칠언률시]

송시열[1607-1689]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