李白

採蓮曲[채련곡]

돌지둥[宋錫周] 2024. 7. 9. 12:32

採蓮曲[채련곡]     李白[이백]

연밥 따는 노래.


若耶溪傍採蓮女[약야계방채련여] : 약야의 시내 곁에서 연밥을 따는 아가씨
笑隔荷花共人語[소격하화공이어] : 웃음 숨기고 연 꽃 속에 함께한 이와 말하네.
日照新粧水底明[일조신장수저명] : 해가 쪼여 새로 단장하니 강물 바닥 밝히고
風飄香袖空中擧[풍표향수공중거] : 향기로운 소매 바람에 들려 공중에 나부끼네.
岸上誰家遊冶郞[안상수가유태알] : 언덕 위에는 누구네 집의 즐기는 한량들인지
三三五五映垂楊[삼삼오오영수양] : 드리운 버들의 햇살에 삼삼오오 떼를 지었네.
嘶入落花去[자류시입락화거] : 자주빛 월따말 울며 들며 지는 꽃을 피하니
見此躊躇空斷腸[견차주저공단장] : 이를 보고 머뭇거리다 공연히 마음만 태우네. 

 

若耶[약야] : 越[월]나라의 미녀 西施[서시]가 연밥을 따던 시내.

   越溪[월계], 浙江省[절강성] 紹興[소흥] 동남쪽에 있는 계곡.

遊冶郞[유야랑] : 주색잡기에 빠진 사람.

배를 타고 연밥이나 연근 캐는 일은
본디 생계를 위한 일이었으나,
연꽃 사이의 아름다운 처녀를
묘사하는 데 치중했던
귀족 시인들에 의해
연꽃이나 연잎을 따는
놀이 차원으로 변모되었다.

항저우 지방을 대표하는
미인인 西施[서시]가

일찍이 처녀 때에

鏡湖[경호] 부근의 若耶[약야]에

연꽃을 따러 나오면

젊은 청년이랑 동네 주민들이

모두 몰려나와 그 아름다움에

넋을 잃었다하는데

淸商曲辭[청상곡사] 중의 하나이다.

 

이백의 이 작품은

오스트리아의 근대 작곡가

구스타프 말러

(Gustav Mahler; 1860~1911)의

아홉 번째 교향곡

〈대지의 노래

(Das Lied von der Erde)〉 중

4악장

아름다움에 대하여 중에서

[(Von der Schonheit)

편안하면서도 매우 부드럽게]

 

이 부분은

이백의 '채련곡'입니다.

원작자 및 원시가

일찍부터 확정되었습니다.

연못가에서 연꽃을 따는

처녀들을 묘사한 다음

말을 타고 못 가로 달려온

젊은이들을 비추고 다시

연꽃 따는 처녀로 돌아갑니다.

 

연꽃 따는 여인들을 묘사한

우아하고 서정적인 음악과

거칠게 말을 타고 등장한

한량들을 묘사한 격렬한 음악이

대조를 이루는 악장에

인용되었답니다.  

 

'李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送張舍人之江東[송장사인지강동]  (6) 2024.08.27
夏日山中[하일산중]  (0) 2024.07.31
對酒憶賀監[대주억하감]  (0) 2024.06.24
望廬山瀑布[망려산폭포]  (0) 2024.06.15
戱贈杜甫[희중두보]  (0) 2024.05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