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호 임제

聞鶯[문앵]

돌지둥[宋錫周] 2025. 2. 25. 16:35

聞鶯[문앵]    白湖 林悌[백호 임제]

꾀꼬리 소리를 듣고.

 

小夢鶯啼送[소몽앵제송] : 짧은 꿈에 꾀꼬리가 울며 알리니

幽窓睡未濃[유창수미농] : 깊은 창 어둡지 않아 졸리는구나.

曉霞紅一抹[효하홍일말] : 새벽 노을은 조금씩 붉어지는데

芳草碧千重[방초벽천중] : 꽃다운 풀 여러 겹으로 푸르구나.

意聲猶怨[득의성유헌] : 득의한 소리를 오히려 원망하다

含羞語似慵[함수어사용] : 부끄럼 머금고 범상한 듯 소리내네.

鳳池風日好[봉지풍일호] : 봉황의 못에 바람과 볕이 좋으니

遲爾和簫鏞[지이소소용] : 너를 기다리며 종을 치며 화답하리.

 

得意[득의] :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만족해하거나 자랑스러워함.

 

林白湖集[임백호집]  卷之一[권지일] 五言近體[오언근체]

林悌[임제, 1549-1587] : 자는 子順[자순], 호는 白湖[백호], 楓江[풍강] 등.

   서북도 병마평사로 임명되어 임지로 부임하는 길에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가

   시조 한 수를 짓고 제사지냈던 일과 기생 寒雨[한우]와 시조를 주고받은 일,

   평양기생과 평양감사에 얽힌 일화도 유명하다.

 

풀이가 완성되지 않았으니 퍼가지는 마세요 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