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황

次韻[차운]答林大樹[답임대수]-4

돌지둥[宋錫周] 2024. 1. 22. 21:41

次韻[차운]答林大樹[답임대수]-4

退溪 李滉[퇴계 이황]

차운하여 임대수에게 답하다.  四首[4수] 癸丑[계축] 1553년

 

4-4

心欣吉善如蘭馥[심흔길선여란복] : 마음의 선과 길함 받드니 향기로운 난초 같고

氣涌姦兇似泰峨[기용간흉사태아] : 기백이 솟구치니 간흉에게 크고 높은 것 같구나. 

莫把衰齡看古史[막파쇠령간고사] : 쇠한 나이에 엣 역사를 잡고서 바라보지 마시오

衰齡看史轉傷多[쇠령간사전상다] : 늙은 나이에 보는 역사 오히려 애태움만 많네요.

 

大樹[대수] : 林億齡[임억령, 1496-1568]의 자, 호는 林石川[임석천].

 

退溪先生文集卷之二[퇴계선생문집2권] 詩[시]

한국고전번역원ㅣ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ㅣ1989

李滉[이황 : 1501-1570] : 본관은 眞城[진성], 자는 景浩[경호],

  호는 退溪[퇴계], 退陶[퇴도], 陶搜[도수].

  주자성리학을 심화, 발전시킨 조선의 유학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