端午思先墓[단오사선묘] 李恒福[이항복]
단오에 조상의 무덤을 생각하며.
忠孝傳家及此身[충효전가급차신] : 충성과 효를 대대로 전하여 이 몸이 함께하니
爺孃常戒汝爲人[아양상계여위인] : 부모님께선 항상 너가 사람 되라고 경계하셨네.
龍荒是日天連海[용성시일천련해] : 오랑캐 땅에 이날은 하늘과 바다가 연접했는데
每聽林烏哭令辰[매청림조곡령신] : 매양 들리는 숲의 까마귀는 좋은 때에 곡을하네.
傳家[전가] : 집아 대대로 전하여 내려옴.
爺孃[야양] : 부모를 속되게 이르는 말.
龍荒[용황] : 匈奴[흉노]를 말함, 흉노족이 龍城[용성]에서 하늘에 제사지냄.
令辰[영신] : 좋은 날이나 때.
백사선생 시집에는 이 시가 마지만 수 입니다.
白沙先生集卷之一[백사선생집1권] 詩[시] 1629년 간행본 인용
이항복[1556-1618] : 자는 子常[자상], 호는 白沙[백사], 弼雲[필운],
靑華眞人[청화진인], 東岡[동강], 素雲[소운]
임진왜란 때 병조판서를 지내면서 많은 공적을 세운 조선의 문신.
1617년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가 1618년 관직이 삭탈되고
함경도 북청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.
'李恒福' 카테고리의 다른 글
北俗喜馳馬[북속희치마]男女皆氊笠[남여개전립] (1) | 2025.01.08 |
---|---|
夜坐[야좌] (2) | 2025.01.05 |
二月初六日[이월초륙일]到北靑[도북청] (0) | 2025.01.01 |
士人尹善道抗䟽言事[사인윤선도항소언사] (0) | 2024.12.29 |
咸原驛[함원역] (0) | 2024.12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