허난설헌

恨情一疊[한정일첩]

돌지둥[宋錫周] 2020. 8. 24. 15:47

恨情一疊[한정일첩]  蘭雪軒 許楚姬[난설헌 허초희]

한스런 마음이 또하나 겹치네.

 

春風和兮百花開[춘풍화혜백화개] : 온화한 봄 바람에 온 갖 꽃 들이 피어나고

節物繁兮萬感來[절물번혜만감래] : 무성한 계절의 산물이 많은 생각을 부르네.

處深閨兮思欲絶[처심규혜사욕절] : 안방 깊은 곳에서 생각을 끊으려 해보지만

懷伊人兮心腸裂[회이인혜심장렬] : 그대 생각하는 여자 마음과 창자 찢어지네.

夜耿耿而不寐兮[야경경이불매혜] : 마음에 잊히지 않는 밤 그래도 잠들지 못해

聽晨鷄之喈喈[청신계지개개] : 새벽 닭들이 함께우는 꼬끼오소리 들리네.

羅帷兮垂堂[나수혜수당] : 비단 휘장 드리운 집에

玉階兮生苔[옥계혜생태] : 옥 섬돌의 이끼는 싱싱하구나.

殘燈翳而背壁兮[잔등예이배벽혜] : 희미한 등불 물리치고 벽에 기대니

錦衾悄而寒侵[금금초이한침] : 비단 이불에 추위 엄습하여 근심하네.

下鳴機兮織回文[하명기혜직회문] : 베틀 내려 소리내며 회문금을 짜려니

文不成兮亂愁心[문불성혜난수심] : 문장 이루지 못해 마음만 어지러이 시름겹네.

人生賦命兮有厚薄[인생부명혜유후박] : 인생 받은 운수에 후함과 박함이 있으니

任他歡娛兮身寂寞[임타환오혜신적막] : 남들은 환오하지만 이 몸은 적막하구나.

 

節物[절물] : 철에 따라 나는 産物[산물]. 

耿耿[경경] : 마음에 잊히지 아니함.

殘燈[잔등] : 꺼지려고 하는 등불, 깊은 밤의 희미한 등불.

回文[회문] : 織錦回文[직금회문], 비단에 回文[회문]을 짜 넣다.

     아내의 서신이나 여자들의 뛰어난 창작력 혹은 창의력을 비유하는 말.

     ‘回文[회문]’은 修辭[수사] 기법의 하나로, 앞에서부터 읽으나

     끝에서부터 읽으나 다 뜻이 통하게 지어진 글을 말한다.

東晉[동진] 때 前秦[전진]의 왕 苻堅[부견]의 밑에서 秦州刺史[진주자사]를 지낸 竇滔[두도]에게는

재주 많고 덕이 있는 아내 蘇蕙[소혜] 외에도 趙陽臺[조앙대]라는 寵姬[총희]가 있었는데,

이들은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. 둘이 보기만 하면 말다툼을 하고 싸웠기 때문에

두도는 종종 골머리를 앓았다. 훗날 두도는 좌천되어 西域[서역] 지역으로 가게 되었는데

총희 조양대를 데리고 가려고 했다. 이를 본 아내 소혜는 따라가지 않았다.

임지에 간 두도가 점차로 아내를 잊게 되자 소혜는 이로 인해 몹시 상심했다.

하지만 남편을 그리워하는 마음에서 정성스런 마음으로

가로세로 8치의 비단에 글자를 짜 넣어 回文詩[회문시]를 지어 두도에게 보냈는데,

이를 ‘璇璣圖[선기도]’라고 한다.

두도는 이 시들을 읽고 크게 감동하여

곧 총희를 돌려보내고 융숭한 예의를 갖춰 아내를 데려왔다.

晉書[진서] 列女傳[열녀전] 竇滔妻蘇氏[두도처소씨]

 

蘭雪軒詩集附錄[난설헌시집부록] 附錄[부록] 

季弟許筠[계제허균]彙粹[휘수] 1606간행

한국고전번역원 |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| 1991

'허난설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感遇[감우]  (0) 2021.01.07
少年行[소년행]  (0) 2021.01.01
閨怨[규원] 許楚姬[허초희]  (0) 2018.11.06
宿慈壽宮贈女冠[숙자수궁증여관]  (0) 2017.08.15
次仲氏見星庵韻[차중씨견성암운]  (0) 2017.08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