有客自春川來[유객자춘천래]
言其鄕中十景[언기향중십경]因題以贈[인제이증]
梅月堂 金時習[매월당 김시습]
어떤 나그네가 몸소 춘천에 와서 그 고향의 십경을 말하기에 써서 주다.
尋僧花岳[심승화악] 화악산의 스님을 찾아.
暇日扶靑藜[가일부청려] : 한가한 날에 명아주 지팡이를 붙들고
陟彼華山岡[척피화산강] : 저 화악산의 산등성이를 올라간다네.
石逕何犖确[석경허럭각] : 돌 지름길의 밝은 자갈 땅 나무라지만
蒼蒼松檜涼[창창송회량] : 푸르고 무성한 솔과 전나무 시원하네.
山雲暗藤枝[산운암등지] : 산의 구름은 등나무 가지가 숨기고
山風吹桂香[산풍취계향] : 산 바람은 계수나무 향기를 퍼뜨리네.
徑盡見蒼崖[경진견창애] : 지름길 다하니 아주 높은 절벽 보이고
飛瀑流泱泱[비폭류영영] : 떨어지는 폭포 깊고 가득하게 흐르네.
一條素如練[일조소여련] : 한 줄기 누인 명주 같이 희고
直下林巒傍[직하림망방] : 둥근 봉우리 곁 숲에 직접 떨어지네.
上有千丈松[산유천장송] : 위로는 천 길의 소나무 가 있고
下有十笏房[하유십홀방] : 하래에는 사방 열장의 방이 있네.
老僧雪眉皺[노승설미추] : 늙은 스님 주름잡힌 눈썹은 하얗고
觀空坐石床[관공좌석상] : 하늘 바라보며 돌 침상에 앉아있네.
迢迢難攀緣[초초난반연] : 높고 높아 더위잡아 오르기 어렵고
默默遙相望묵묵요상망] : 아무 말없이 서로 아득히 바라보네.
我無身八翼[아무심팔익] : 나의 몸에 8개의 날개가 없는데다
亦無修鍊方[역무수련방] : 또한 닦아 단련하는 방법도 없다네.
火宅透塵網[화택수진망] : 번뇌와 고통의 티끌 망을 꿰뚫고
朅來投古皇[걸래투고황] : 어찌 부처께 의탁하려 오지 않는가
願借一神通[원차일신통] : 원함은 한결같은 신통함을 빌려서
哀愍垂慈光[애민수자광] : 가엾고 딱하니 자비로운 은혜 베푸네.
暇日[가일] : 한가한 날.
靑藜[청려] :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.
石逕[석경] : 돌이 많은 좁은 길.
犖确[낙각] : 산에 큰 돌이 많은 모양.
十笏房[심홀방] : 笏[홀]은 尺[척]과 같은 뜻으로 사방 十丈[십장]의 조그만 방.
攀緣[반연] : 휘어잡고 의지하거나 기어 올라감.
默默[묵묵] : 아무 말없이 잠잠함.
修鍊[수련] : 인격, 기술, 학문 따위를 닦아서 단련함,
火宅[화택] : 불이 일어난 집, 번놔와 고통이 가득한 속세.
古皇[고황] : 부처님.
哀愍[애민] : 가엾고 불쌍히 여김.
慈光[자광] : 자비로운 은혜.
梅月堂詩集卷之六[매월당시집6권] 詩[시] 題詠[제영]
題詠[제영] : 시를 짓고 읊음.
金時習[김시습,1435-1493] : 자는 悦卿[열경].
호는 梅月堂[매월당], 東峰[동봉], 碧山淸隠[벽산청은], 贅世翁[췌세옹]
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
머리를 삭발하고 중이 되어 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.
生六臣의 한 사람. 조선초기의 문인 (소설가).
글 퍼가시는 분 출처를 반드시 명기해 주세요 !
'매월당 김시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釣魚新淵[조어신연] (2) | 2025.07.17 |
---|---|
采藥仙洞[채약선동] (0) | 2025.07.08 |
返棹昭陽[반도소양] (0) | 2025.07.04 |
有客自春川來[유객자춘천래]言其鄕中十景[언기향중십경] (2) | 2025.06.30 |
漁村落照[어촌락조] (0) | 2025.06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