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/09/30 3

次崔善餘[차최선여] 世慶[세경] 韻[운]

次崔善餘[차최선여] 世慶[세경] 韻[운]   宋時烈[송시열] 선여 최세경의 운을 차하다. 丁巳[정사,1677년, 숙종 3년]  蒼兔吾爲有北臣[창토오위유북신] : 푸른 토끼 나를 다스려 북쪽 신하로 있으려니君來同作德源人[군래동작덕원인] : 그대가 위로하며 나와 함께 덕원 사람 되었네. 南荒千里重聯榻[남황천리중련탑] : 황량한 남쪽 천리에 책상 나란히해 삼가하니 丁巳三元又一春[정사삼원우일춘] : 정사년 정월 초하루에 봄은 다시 한결같구나. 白髮丹心渾是舊[백발단심혼시구] : 붉은 마음에 흰 머리털 이 늙은이에게 섞이니 靑燐黑霧去猶新[청링흑무거유신] : 푸른 도깨비불 검은 안개 갈수록 더 새롭구나. 君行有語君須記[군행유어군수기] : 그대 행함에 많은 말 모름지기 그대 기억하게 莫歎人生志不伸[막탄인생지불신] : ..

송시열 08:02:33

兒作立春詩戲題[아작입춘시희작]

兒作立春詩戲題[아작입춘시희작]  李瀷[이익] 아이가 입춘시를 지었기에 장난삼아 제하다.  八歲兒詩頌立春[팔세아시송입춘] : 여덟 살 아이가 시로 입춘을 암송하고 翁今四十老迎新[옹금사십로영신] : 아비는 지금 마흔에 늙어 새해를 맞네. 看渠紙面能成字[간거지면능성자] : 바라보는 그 지면에 이룬 글자 능하고 效我門眉强說貧[교아문미강설빈] : 집안 노인 본받아 가난 억지로 말하네. 計活固知無別意[계활고지무별의] : 생계에는 별 뜻이 없음 진실로 아노니 祈禳還見有添身[기양환견유첨신] : 축원해 봤자 도리어 몸만 더할 뿐이네. 已將玆事爲祥慶[이장자사위상경] : 이미 이 일을 상서로운 것으로 여기니 硏墨濡毫手自親[연묵수호수자친] : 먹 갈고 붓 적시는 데 손이 절로 친숙해라. 計活[계활] : 살림을 할 방법이나 대..

한시 봄 04:54:07

敬叔將赴謫所[경숙장부적소]貽書乞詩[이서걸시]

敬叔將赴謫所[경숙장부적소]貽書乞詩[이서걸시]白沙 李恒福[백사 이항복]경숙이 장차 귀양살이 할 곳으로 가며 글을 보내 시를 구하기에  好去吾玄老[호거오현로] : 기꺼이 가게나 우리 현 늙은이여 臨行別有辭[임행별유사] : 고행에 임하여 특별한 말이 있네. 怡神如在室[이신여재실] : 정신의 유쾌함 방에 있는 것 같고 處困若逢時[곤인약봉시] : 곤경에 처함도 때를 만남 같다네. 道直屯猶泰[도직둔유태] : 곧은 도리는 크고 오히려 두텁고 心冥險亦夷[심명험역이] : 마음 깊으니 험해도 또한 유쾌하네. 天生此物意[천생차물의] : 하늘이 이 사람을 만들어 낸 뜻이 應不止於斯[응부지어사] : 응당 여기에서 그치지 않으리라. 敬叔[경숙] : 申欽[신흠,1566-1628]의 자,    호는 玄軒[현헌] · 象村[상촌] · ..

李恒福 04:08:01